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910)
금 (GOLD) 분석 (경제) (1) 금(Gold) 은 극히 한정된 자원으로 희귀성, 산업에서의 유용성, 등 다양한 가치를 인정받아 가치가 높은 상품중 하나입니다. 금은 흔히 '골드바' 형식의 현물로 매매가 가능함과 동시에 실제로 갖고 있지 않더라도 금융시장을 통해 거래가 가능합니다. 금의 가격은 2001년 부터 2011년까지 단한번도 쉬지않고 가파르게 상승하였습니다. (source: Investing.com) 단지 금이 갖는 유용성 과 소장가치 의 매력 으로 900%로 상승 했다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금 가치를 9배 상승시켰던 원인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금 주요 수출국 1. 스위스 2. 홍콩 3. 영국 4. 미국 5. 호주 금 주요 수입국 1. 스위스 2. 중국 3. 홍콩 4. 인도 5. 미국 수출/입 관계를 보면 스위스,홍콩,미국 은 ..
[국내증시] 삼성전자 주식 분석 2 (2016&2017) Business Korea , Cho Jin-young 의 기사에 의하면 삼성 스마트폰의 50%를 베트남에서 생산하고 8%만 한국에서 생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처럼 삼성의 주요상품 생산은 대부분 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만큼 환율과 베트남과 같은 임금이 저렴한 개발도상국들의 경제상황, 주요국(미국, 중국,유럽) 들의 정책 변화는 분명 삼성전자의 미래에 큰 영향을 줄것입니다. 이제 이러한 상황들이 삼성에 어떻게 어떠한 방향으로 영향을 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환율 우리가 보는 삼성의 재무재표는 원화로 표기되어있습니다. 이 원화로 표기된 삼성의 매출액, 영업이익이 증가하기 위해서는 주요수출국들에 비해 원화의 가치가 하락해야 합니다. 다행히도 대한민국은 12월15일 미국금리인상이 끝난뒤 2017년 2분기 ..
[국내증시] 삼성전자 주식 분석 1 (2016&2017) 국내1위기업, 시가총액 약 250조를 기록하고 있는 삼성전자 주식을 분석해보고 향후 주가의 방향성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증시] 삼성전자 주식 분석 1 에서는삼성전자의 미시적측면에서의 분석을 할것이고 [국내증시] 삼성전자 주식 분석 2 에서 거시경제측면에서의 분석을 하겠습니다. 삼성전자의 주요제품은 전기통신설비 ( 스마트폰, 모바일폰) 55% 소비자가전 ( TV,모니터, 냉장고, 등) 25% 반도체 ( DRAM, NAND Flash, 등) 20% 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직원수는 약 32만명이 고용되었으며 전세계 약 80개국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주요 경쟁사들과 R&D 투자 상황을 비교해보면, 출처:Strategy+Bisiness, Data for Sony and LG are..
[코스닥] 셀트리온 주가전망 (주식 종목 기업 분석 예측 예상) 셀트리온은 코스닥 1위기업으로써 한미약품과 한국의 제약산업을 이끌어 가고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역사적 발전을 이룬기업입니다. 하지만 현재까지이룬것은 이미주가에 반영이 되었으므로 앞으로 어떠한 변화가 일어날지에 초점을 두어야합니다. 셀트리온의 경우 규모와 세계시장에서의 판매구조를 고려하였을때 거시경제적영향을 더크게 받습니다. 따라서 Top-down approach 를 통해 분석을 하겠습니다. 즉, 먼저 셀트리온이 포함된 바이오/제약/의료기기 분야에 대한 분석을 한후 셀트리온 개별회사에 대한 분석을 하겠습니다. 거시경제적영향분석 코스닥 에 밀집되어 있는 바이오, 제약, 의료기기 분야의 현재 상황과 미래의 방향에 대한 예측을 해보겠습니다. 이 분석에서는 Top-Down Approach를 사용하겠습니다. 즉 ..
바이오/ 제약/ 의료기기 분석,예측 (2016&2017) (출처:https://www.aei.org/publication/bleeding-biotech/) 코스닥 에 밀집되어 있는 바이오, 제약, 의료기기 분야의 현재 상황과 미래의 방향에 대한 예측을 해보겠습니다. 이 분석에서는 Top-Down Approach를 사용하겠습니다. 즉 전반적인 경기/산업 싸이클을 본후 각 분야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코스닥 상장기업들은 더이상 소기업이 아닌 중견기업입니다. 내수시장만을 상대하지 않고 해외수출을 통해 성장 한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이 세분야의 제품 및 서비스를 어떤나라에서 주로 수입하는지가 중요합니다. 2014년 기준 전세계 무역에서 유럽 60%, 북미 18%, 아시아18% 의 비중으로 세분야의 제품 및 서비스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2017년 경기예상으로 비중을..
버냉키 쇼크 와 트럼프 쇼크 &한국증시 [2016&2017] 버냉키 쇼크 (Bernanke Shock) 와 버냉키 랠리(Bernanke Rally) 가 있습니다. 버냉키쇼크는 버냉키 가 연준(FED) 의장을 맡은 기간 (2006년2월 ~ 2014년1월) 사이에 세계금융시장에 비친화적인 발언을 하여 증시들이 일제히 하락힌 기간을 칭합니다 버냉키랠리는 이와반대로 시장친화적발언으로 세계증시의 상승기간을 일컬어 '버냉키랠리시즌' 이라고 부릅니다. 그중에 대부분의 대한민국 투자자가 부르는 버냉키쇼크의 기간은 2013년 6월 입니다. (출처:Investing.com)당시 버냉키 연준의장은 미국의 양적완화 규모를 축소하겠다는 발언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양적완화규모의 축소의 의미는 미국중앙은행의 국채매입량을 줄이겠다는 것입니다. 이는 화폐유통량을 줄이겠다, 즉 신흥국투자의 규모또..
[코스닥] 엔터주 분석 예측 (2016&2017) 한류금지령 등 수많은 구설수 & 국내정치적혼란& 브랙시트&이탈리아 개헌실패와 렌치총리 사임&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예견 국내증시가 폭락을 피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들 입니다. 그중에서 중국관련 한류금지령에 대한 구설수와 위악재들에 의해 코스닥중 엔터주들이 낙폭이 큰 상태입니다. (출처: 키움증권)낙폭의 정도가 합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언론보도들에 의하면 정확히 중국정부에서 한류금지령을 공지를 하지 않았지만 그런 분위기여서... 라는 보도들이 전부입니다. 왜 중국내 실제 이러한 상황들이 벌어지는지 정확히 알아야합니다. 한중FTA 자료입니다. (한중FTA 협정문) (한중FTA협정문) 서비스의 독점공급자를 언급 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문화서비스의 중국내 판매가 독점은 아닙니다. 하지만 규모의 확산정도와 속도를..
일본 지진 과 국내증시 영향 (출처: gettyimages) 일본지진이 주는 국내증시영향에 대하여 조사를 시작 한 것은 일부 기자님들이 일본의 지진과 대한민국 증시를 엮어서 기사를 내신것 들을 많이 보아 이것이 설득력 있는 주장인지 아니면 사람들의 클릭수를 하나라도 더 받으려 막 갖다 붙혀서 기사를 쓰셨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조사를 하였습니다. 전혀 합리적이지 않고 비 논리적이어도 재미로 봐주시기를 바랍니다. 일본지진의 역사 시기 강도(Mw)2010년2월26일 7.0 2010년12월21일 7.4 2011년3월9일7.2 2011년3월11일9.1 2011년3월11일7.1 2011년4월7일7.1 2011년4월11일 7.1 2011년 7월10일(휴장, 제외)7.0 2012년1월1일(휴장, 제외) 6.8 2012년12월7일 7.3 ..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