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분석

(108)
미국 금리인상과 한국경제 분석 (2) 미국의 금리인상 예상,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이탈리아개헌내각 실패, 등 최근 국제적 이슈들이 난무하였으며 한국증시와 경제에 미치는 여파는 상당하였습니다. (출처:Investing.com)우리나라의 대표지수인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폭락을 면치못하고 있습니다. 이번 경제와 증시의 약세는 기업 개별의 미시적 측면이 아닌 외부로부터의 거시적 요인들에 의한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Investing.com이는 대한민국의 FX reserve, 외국인 직접투자, 채권매매,주식매매, 등 모든 자산들의 외국인 수급현황을 보는 방법도 있겠지만 환율을 보시면 쉽고 빠르게 추세를 읽으실수 있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원 달러 USD/KRW 가 10월이후 가파르게 상승한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이 그래프의 의미는 원화의 수요보..
[대한민국] 서비스업 분석 공공서비스, 도소매, 통신,운수, 오락,문화, 의료,교육, 금융, 광고, 부동산, 보험, 등이 서비스업에 포함됩니다. (출처:TradingEconomics)대한민국의 2대 산업인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규모를 비교해보면, 2016년 현재 서비스업의 규모가 제조업에 비해 약 2배에 달합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각각 고용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보겠습니다. 출처:OECD, STAN database and Labour Force Statistics.대부분의 OECD 국가들 처럼 대한민국의 경우 제조업에비해 서비스업종사자가 압도적인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업규모의 팽창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상대적으로 낮은 진입장벽 과 낮은 초기비용 2. 선진국과 개발도상국들의 GDP 증가로인한 전반적인 서비스산업..
대한민국 외교 (중국VS미국) 대한민국의 외교는 안보, 통일, 국위선양, 경제복지 에 기초목표를 두고 시행하고 있습니다. 경제측면에서 대한민국의 외교는 국가에 실익을 가져다 주며 비교우위(comparative advantage) 가 높은 상품/서비스를 수출하고 그분야를 전문화하여 일자리창출을 증가시키는 방향이어야 합니다. 대한민국의 주요 수출국들을 보면 1. 중국 25% $142B 2. 미국 12% $70.1B 3. 일본 $32.2B 주요수입국 1. 중국 $88.9B 2. 일본 $52.5B 3. 미국 $43.9B 각나라의 순무역수지를 보면 중국 +$53B 미국 +$26B 일본 -$20B 무역수지만 고려한다면 중국에 1순위, 미국2순위 로 두어야합니다. 일본의 경우 대한민국은 아쉬울것이 없습니다. 오히려 무역협상카드를 압박전략으로 사용..
한국 실업률/고용 분석 (2016&2017) 대한민국 실업률 은 2016년 10월 기준 3.7% 입니다. (출처:http://www.tradingeconomics.com/south-korea/unemployment-rate) OECD 국가들과 비교해보면 출처:https://data.oecd.org/unemp/unemployment-rate.htm대한민국 실업률이 가장 낮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실감하는 실업률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습니다. 이러한 괴리의 발생은 비정규직들이 대거 포함되었으며 실업자를 구분하는 애매한 기준 때문이라 볼 수 있습니다. 청년들이 겪는 취업의 어려움은 사상 최고조에 달하였습니다. 출처:https://data.oecd.org/unemp/youth-unemployment-rate.htm한국청년실업률의 경우 한국실업률의 약 3배로 ..
한국 무역수지 & 한국경제 요약분석 2016년 12월 1일 발표된 무역수지를 보면 (출처: Investing.com)한국 11월 무역수지 예상이 $10.9billion 이였지만 $8.0billion 이 기록되며 예상치를 크게 하회하였습니다. 하지만 수출/수입 증가율을 보면 수입이 2.7% 성장하여 예상치 1.2%를 2배이상 상회 하였고 수입이 10.1%성장하며 예상치 2.9% 를 크게 웃돌았습니다. 위자료를 통해 내릴 수 있는 결론은 수출감소로 인한 무역수지하락이 아니라! 수입의 폭등으로 인한 무역수지 감소 입니다. 이는 쉽게 해석해보자면 수입물품에 대한 소비가 늘어나면서 2016년 11월 국내 내수시장의 성장에 도움이 됬다고 풀이 할 수 있습니다. 11월이 국정혼란의 시작점이었으며 최고조에 달했을 때 입니다. 시기를 고려하여 이번의 무역..
한국경제 분석 (2016 & 2017)(Policy Approach) 이번 글에서는 한국경제를 앞으로 정부와 한은이 취할 재정 정책 및 통화 정책 방향 을 예측하여 분석해 보겠습니다. 오늘날 같은 경기 악조건 상황속에서는 일반적인 정책은 재정확장정책 & 통화확장정책을 동시에 사용 하는 것입니다. (재정확장정책: eg. 정부의 지출을 확대) (통화확장정책: eg. 중앙은행의 채권 매입) 이 두가지 정책을 동시에 썻을 때의 효과를 이론적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경제학 공부를 하신분은 이미 아시겠지만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위 그래프에서 IS선은 (국민소득= 소비 + 투자 +정부지출 ) 의 함수 이며 LM은 통화량이 증가할수록 오른쪽으로 shift 합니다.) Y축:R(금리), X축;Y(국민소득) 왼쪽에서 처럼 재정확장정책 만 사용하는 것 보다 오른쪽 그래프, ..
[한국산업] 대한민국 제조업 업종 분석 (2016&2017) (source: http://www.heraldsun.com.au/news/victoria/victoria-car-manufacturing-industry-support-needs-review-report-recommends/news-story/3ce735c1123af4116faaf50c2e63e26a) 제조업이 GDP 에 차지하는 비중 (source: World Bank)위 그래프를 보면 대한민국은 제조업이 국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반면 나머지 OECD 국가들은 평균 적으로 내려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대표기업들 (삼성, 현대, LG, SK하이닉스,등) 의 매출액 대부분이 수출로부터 얻어지는데 수출품목 대부분이 제조업으로부터 생산된 제품 (스마트폰, 자동차, 반도체, 가전..
미(美) 중(中) 정상회담 & 트럼프 지지율 미중 정상회담 & 트럼프 지지율 (트럼프 미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과 마담 펑리위안을 환영하고 있다., 이미지 출처: 도날드 트럼프 공식 인스타그램)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의 정상회담이 미국 플로리다 팜비치에 위치한 트럼프의 별장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이루어졌습니다. 미중정상회담 날짜: 2017년04월06일 저녁 10:00pm~11:00pm (한국시간기준) ~ 2017년04월07일/08일 (한국시간기준) 회담자리에서 시진핑은 사드배치에 대한 중국의 반대입장을 표명한 반면 트럼프대통령은 사드의 필요성을 설명한 수준으로 알려지면서 대한민국의 입장에서는 성과가 없었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도날드 트럼프는 트위터를 통해 시진핑 주석과 마담 펑리위안을 미국에 초대할수 있어 영광이었다고 전하면서 상당한..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