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에스디에스(Samsung SDS) 기업정보
(로고출처: 삼성에스디에스 공식홈페이지)
1985년05월01일 '삼성데이타시스템'으로 설립되로 삼성SDS로 상호변경후 2014년11월14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삼성에스디에스는 시스템통합구축서비스, 소프트웨어 개발 및 정보처리기술 서비스/교육훈련 등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는 매출 8조원규모(2016년기준)의 대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삼성에스디에스(Samsung SDS) 최대주주
삼성SDS의 최대주주는 삼성전자로 2017년03월31일기준 전체발행주식의 22.58%를 보유하고 있으며 삼성물산, 삼성생명(특별계정), 이건희, 이재용 등 특수관계인들의 지분을 합산하면 56.74%에 달합니다.
♧삼성에스디에스(Samsung SDS) 매출구성
2017년1분기 기준 삼성SDS의 매출비중은 IT서비스가 56.8%, 물류BPO가 43.2%이지만 영업이익 비중은 IT서비스 81.5%, 물류BPO 18.5%로 IT서비스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IT서비스중에서도 애플리케이션 아웃소싱/인프라서비스의 매출비중이 전체매출액의 43.1%로 가장높고 물류BPO서비스43.2%, 컨설팅/SI서비스 13.7%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16년1분기 대비 올해1분기 IT서비스의 매출액은 소폭증가하는데 그친반면 물류BPO서비스의 매출이 크게 증가하여 전체매출성장을 견인하였습니다.
♧삼성에스디에스(Samsung SDS) 전망
가트너(Gartner, 2017.04)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IT서비스시장 규모는 올해 2.3%의 성장을 보이는데 그치지만 내년부터 2020년까지 4%후반~5%의 성장율을 보이며 2019년에는 시장규모가 10,000억달러를 돌파할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반면 국내 IT서비스시장규모는 내년부터 2020년까지 1%대 초반의 성장율이 예상되고 있는데 이는 대한민국이 아직까지 제조업위주의 경제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어 서비스분야로의 정부차원의 과감한 인프라구축 및 투자가 부족하기 때문인것으로 판단됩니다.
삼성SDS의 지역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2017년1분기기준 국내 매출액의 전체의 50%에 육박하며 미주 약 20%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파른 실적성장보다는 단계적 성장이 예상되기때문에 잦은 투자비중조정보다는 장기적 투자가 적합한 종목으로 판단됩니다.
(자료출처: 삼성에스디에스 분기보고서2017.05.15)
'실전투자 > 코스피 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케미칼 주가 전망 <주식 투자 JY Invest> (0) | 2017.06.28 |
---|---|
하나금융지주 주가 전망 <주식 투자 JY Invest> (0) | 2017.06.28 |
넷마블게임즈 주가 전망 < 모바일 게임> (0) | 2017.06.28 |
LG디스플레이 주가 전망 < 디스플레이 산업> (0) | 2017.06.28 |
우리종금 주가 전망 (증권사 전환?, 010050) (0) | 2017.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