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이 GDP 에 차지하는 비중
위 그래프를 보면 대한민국은 제조업이 국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반면 나머지 OECD 국가들은 평균 적으로 내려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대표기업들 (삼성, 현대, LG, SK하이닉스,등) 의 매출액 대부분이 수출로부터 얻어지는데 수출품목 대부분이 제조업으로부터 생산된 제품 (스마트폰, 자동차, 반도체, 가전제품, 등) 이기 때문입니다.
금융업, 보험업, 운수업, 통신업, 관광업 등 을포함한 서비스 업이 GDP에 기여하는 비중이 가장 큰 것은 사실이지만
제조업 (Manufacturing Industry) 은 세계 경제사이클에 가장 민감한 업종으로써 대한민국 GDP 에서 두번째로 높으며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핵심 수출 산업임은 틀림없다고 생각됩니다.
한국은행과 대한민국 정부 는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유리한 방향으로 펼쳐왔고 산업 혁명이 일어나지 않는 한 앞으로도 같은방향으로 나아갈 수 밖에 없습니다. (예: 2008년 이후 저금리와 외환시장 공개 개입을 통해 원달러 (USD/KRW) 를 1000원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필사적으로 방어 하였습니다.)
정부에서 국민의 쓴소리를 들어가며 수출기업들 (삼성,현대,등) 에게 상당한 특혜를 부여하고 이들의 세금을 감면해주기 까지 하는 이유는 이들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상 그이상 이기때문입니다.
삼성전자를 예를 들어보면 삼성전자 시가총액으로만 따져도 오늘날짜기준 232조이며 코스피 시가총액이 약 1240조 이므로 대한민국 대기업집단의 1/6 이 삼성전자 라고 보면 됩니다. 코스피 내에도 삼성전자에 납품하는 1차 공급업체가 상당하며 중견기업 집단인 코스닥에도 삼성전자 1,2,3차 납품업체 또는 관련 업체만 13.35% 정도 입니다.
직,간접 연광성을 합친다면 대략 대한민국의 25% 가 삼성이라고 보면 됩니다. 물론 이들의 부도덕적 행위, 즉 비자금 조성이나 주주 비친화적 사업방향, 뇌물수수 같은 행위 에는 상당히 유감스러운 입장입니다. 이점은 정부차원에서 강력한 규제 나 법으로 엄하게 다스려야 합니다.
하지만 이들이 국가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했을 때 지나친 편파 정책이 아닌 한 이들의 수출 증대에 초점을 맞춘 정책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써 어느정도는 이해해야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제조업의 미래
미국의 12월 15일 (대한민국시간) 금리인상 여부 결정은 제조업과 대한민국 국민 모두에게 장기적 측면에서 희소식이 될 수도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금융시장에서 외국계자본의 이탈과 그에대한 심리적 시장 과열현상으로 인하여 증시가 하락하고 경제가 어려운것 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펀더멘털 적 측면 에서 고려해 본다면 USD/KRW 의 상승은 대한민국 수출기업들에게 매우 반가운 소식이며 한국은행은 한동안 금리인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물론 가계부채문제 해결은 숙제로 남겠지만 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고정하게되면 가파른 물가상승률을 저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국민들 또한 소득은 그대로인데 물가만 오르는 실질소득감소 현상 을 더이상 겪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대한민국 제조업이 제2의 전성기를 또다시 누리려면 M&A 혹은 Joint Venture 를 통해 새로운 첨단 기술과 효율적인 생산기반이 융합 되어야만 합니다. 새로운 첨단기술혁명 은 정부의 대규모 예산을 기초과학 분야에 배치하여야 가능한 일인데 이에 반대로 행하고 있는 현정부의 태도에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커버사진출처: http://www.heraldsun.com.au/news/victoria/victoria-car-manufacturing-industry-support-needs-review-report-recommends/news-story/3ce735c1123af4116faaf50c2e63e26a)
'경제분석 > 한국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 새로운 금융제도 (0) | 2017.05.23 |
---|---|
대한민국 외화보유액 <2017> (0) | 2017.05.12 |
전경련 회장 허창수 프로필 & 전경련 탈퇴기업과 탈퇴하지 않은 기업 (미탈퇴기업, 전국경제인연합회) (0) | 2017.05.11 |
2017 대한민국 무역수지 (수출, 수입) (0) | 2017.05.10 |
한중 무역 수출입 현황 [한국 & 중국 수출 수입 품목 규모 비중 분석] (0) | 2017.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