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businesstoday)
2016년 인구 12억명 과 GDP 2250조원 을 기록한 인도경제에 대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2000년도 이후 GDP의 가파른 성장을 위 그래프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떠한 산업이 이 위대한 성장을 견인 하였을까?
인도의 GDP 기여도가 높은 세 업종들의 성장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입니다.
농업의 경우 단순한 싸이클을 반복하며 횡보하고 있는 반면 건설업 과 제조업은 최근까지도 큰 성장을 보여주며 인도성장의 견인역할을 해왔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제조업과 건설업의 가파른 상승은 개발도상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면이며 현재까지의 자료로는 인도경제에 투자하는 것이 특별히 매력있다고 할 수 없습니다.
또한 인도증시의 최근 차트를 보면
2016년 9월 이후로 증시가 약 700포인트 하락하며 더딘 반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는 인도경제의 특징은 다른 신흥국 처럼 국가의 경제 및 금융시장이 해외자본에 심각한 수준으로 노출되어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해외자본 유입/유출 에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는 경제는 아무리 내수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하더라도 세계경제의 조그마한 변동사항에도 취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2016년 11월8일 미국 대선 이후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여파로 인도증시도 타격을 입은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장기적 측면에서의 인도의 성장, 정확히 말하면 2012년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증시의 성장을 보면,
니프티50 지수가 2배 가까이 상승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인도의 성장을 발목 잡고 있었던 이유중 하나가 이미 폐지되었지만 암묵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카스트제도(신분사회) 였습니다. 신분에 따라 차별된 사회적 대우 및 국가의 아니한 처신은 자본주의사회에서 경제가 수렁에 빠질 수 있는 이유중 하나입니다. (예: 신분이 낮은 인도의 고급인력 들의 해외 이민율이 급격히 상승 했었으며 인도내에서도 기업간의 올바른 경쟁구도체제가 자리잡히지 않아 기술개발 투자(R&D 투자) 비중이 낮아지고 뇌물/청탁 용도로 쓰이기 위한 지하경제의 규모만 키워 나갔었습니다.)
하지만, 2012년 당선된 인도의 대통령 나라야난 은 천민출신으로 인도에서 암묵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카스트제도에 반감을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겸손한 태도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인도의 주요산업 발전에 확실한 수장역할을 하고 있어 미국뿐 아니라 주요자본국의 투자자들이 긍정적으로 평가 하였으며 인도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인도 경제 분석 (2) 에서는 인도경제의 산업별 분석 및 수입/수출 현황 등에 대하여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커버사진출처:http://www.businesstoday.in/current/economy-politics/how-will-indian-economy-disinvestment-fiscal-deficit-job-market-fdi--shape-up-in-2016/story/228464.html)
'경제분석 > 인도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 경제 전망 & 화폐개혁, [Indian Economy & Rupee Reform] (0) | 2017.04.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