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는 아시아 제2의 중국이라 불리며 2014년 중국의 경제성장율을 추월하며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2015년이후 8%성장을 이루지 못한채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CNN)
(ⓒ비정상회담,JTBC)
이뿐만이 아닙니다. 인도의 정치 및 대선/총선 자금이 블랙마켓으로부터 조달된다는 것은 잘알려져 있는 사실입니다. 현정부는 주요야당의 자금줄을 압박하는 동시에 세수를 확대하는 기대감으로 이러한 화폐개혁을 실행하였습니다.
지금은 대부분 복구하였지만 당시 인도증시에서는 화폐개혁에 따른 인도경제의 불안감을 느낀 투자자들은 인도금융상품들로부터 자본을 대량 출금하였습니다.
인도증시는 일정부분 회복한 모습이지만 루피의 가치는 심하게 회손되었습니다.
2016년 12월 미국의 금리인상효과도 아래차트에 포함된것은 사실이지만 7%이상의 경제성장율과 6.25%의 기준금리를 보유한 인도의 환율이 2%대 성장과 1.25%의 기준금리를 가진 한국 원달러 환율의 상승폭과 비슷한정도로 움직였다는 것은 의미가 큽니다.
(ⓒInvesting.com)
(ⓒThe Financial Express)
본글은 개인의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투자의 책임과 판단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정보수집의 과정에서 오류가 생겼을수 있으며 정보오류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않음을 알려드립니다. 투자결정이나 판단을 내릴시 관련홈페이지에서 정확한 정보를 확인후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자료가 도움이 되셨다면
글아래 로그인없이 가능한
공감(하트) & 짧은 응원의 댓글 을 달아주시면
정보와 분석제공에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경제분석 > 인도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 경제 분석 (1) (0) | 2017.05.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