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147)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본경제] 일본 GDP & 산업 분석 일본의 GDP 는 2015년 기준 약 $4100billion 으로 대한민국GDP 의 약 3배 입니다. 출처:www.tradingeconomics.com, worldbank2012년에 최고점인 $5900billion 을 달성한후 3년간 하락하였습니다. 최근 아베노믹스의 강한 엔저 정책으로 일본경제를 살리려는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http://kr.investing.com/currencies/usd-jpy 기본적으로 엔화의 가치가 떨어지면 수출기업들의 이익이 급증하면서 이들의 고용을 통해 경제선순환고리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성장하고 있는 일본 GDP 에 기여하는 산업들의 비중 을 살펴보겠습니다. (출처:www.TradingEconomics.com, Cabinet Office, J.. 일본 버블 경제 출처:Investing.com일본경제는 현재 버블이 쌓인 상태, 즉 일본자산들이 고평가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현재까지 니케이지수의 주요상승요인을 살펴보면 1.통화정책 2.재정정책 3.트럼프정권과의 기대감 정책적 강행 이나 기대감이 주요상승의 원인인 경우 보통 제로썸 게임이 됩니다. 즉 한국가안에서 한쪽이 이득을 챙겼으면 다른 한쪽에서 손실을 감당해야합니다. (출처: TradingEconomics) 아베는 2014년 부가세를 5%에서 8%로 올렸으며 이 비용은 고스란히 소비자들의 부담이 되었습니다. 2014년 이후 일본소비자들의 소비 패턴 을 보시면 (오른쪽그래프), 급격한 감소세 이후 현재까지 반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모습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내수시장 규모가 줄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본기.. [일본경제] 아베노믹스 비판 (2) 왼쪽 카테고리 (일본경제) 코너에 있는 아베노믹스 (1) 에서 보셨듯이 아베노믹스는 일본의 대규모 경제성장을 이루어냈으며 이를 아직까지 지지하는 경제학자들 또한 상당수 인것이 사실입니다. 지금부터는 아베노믹스의 취약점들과 왜 아베노믹스가 장기적으로 성공할 수 없는 정책인지에 대한 비판을 시작하겠습니다. 아베노믹스의 결점 아베는 2014년 부가세를 5%에서 8%로 올렸으며 이 비용은 고스란히 소비자들의 부담이 되었습니다. 2014년 이후 일본소비자들의 소비 패턴 을 보시면 (오른쪽그래프), 급격한 감소세 이후 현재까지 반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모습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내수시장 규모가 줄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왼쪽: 일본 국가 부채 오른쪽: 일본 주거용 부동산 가격 막대한 재정 및 통화 확작정책은 일본.. [일본경제] 아베노믹스 비판(1) 2012년 12월 16일 일본 총선에서 자민당이 압승 을 거두며 아베 (Shinzo Abe) 총리가 시행한 경제.금융 정책을 일컬어 아베노믹스 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아베노믹스의 진정한 시작점은 2013년 3월 아베가 일본은행 총재 로 구로다 하루히코를 임명하면서 부터 시작합니다. 아베노믹스의 도입 배경 (source:Investingcom) 금융 위기이후 미국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자 제2의 안전자산인 엔화에 돈이 몰리다니 엔고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일본경제 악순환고리 의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엔고현상-> 기업들의 수지 악화 및 일본무역수지 악화 와 부채증가 -> 고용 감소 및 실질 소득 감소 -> 소비감소 및 GDP 감소 -> ... 아베노믹스의 기본 이론 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재정 확장정책 + 통화.. [미국경제] 미국 GDP 분석2 (2016&2017) (커버사진출처:https://www.marijuanatimes.org/can-legal-cannabis-save-the-u-s-economy/) 분석1에서 말씀드렸듯이 현재 트럼프 정권은 12%비중을 가지고 있는 제조업을 육성하기위해서 해외에 위치한 제조업 공장들의 이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공장들의 이전으로 피해를 입을 국가들은 임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개발도상국들(멕시코,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입니다. 이러한 피해를 입는 개발도상국들은 향후 중국과의 교역을 늘리는 방향을 택할것이고 미국과의 교역조건을 협상할때는 자국에서 이용되고있는 미국의 서비스업에 대한 규제강화 및 세금인상 등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에대한 맞불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높습니다.그렇게되면 미국GDP의 72%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서비스.. [미국경제] 미국 GDP 분석1(2016&2017) (커버사진출처:http://metrocosm.com/map-us-economy/) 3억2천명의 인구를 보유한 세계경제1위 강국인 미국의 GDP를 분석해보겠습니다. GDP는 한나라의 경제상태를 가장정확하게 나타내는 지표중 하나로써 이수치만으로 세계의 경제방향이나 정확한 예측은 불가능하지만 여러지표와 상황을 종합할때 가장비중있는 포지션을 차지하는 만큼 필수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할 정보입니다. (출처:TradingEconomics,World Bank)최근10년 미국GDP 의 흐름을 보면 2008~2009 년 사이에 있었던 미국발세계금융위기의 기간을 제외하면 꾸준히 우상향 방향을 유지하여 왔으며 2015년 GDP 규모는 약 2.1경 원 이었습니다. 14억 인구를 보유한 중국의 GDP 규모가 약 1.3경 원 인것.. 트럼프 의 76가지 약속 과 공약 들 출처:http://www.nytimes.com/2015/10/04/magazine/donald-trump-is-not-going-anywhere.html?_r=0 미국 대선과정중 트럼프 캠패인 76가지 공약들을 약속 하였습니다. 그중에 대한민국과 연관이 있거나 중요한 것들만 선출하여 분석해 보았습니다. 1. 'Build a wall'- and Mexico pay for it. 멕시코에서 생산되어 미국으로 수입되는 물품에 관세를 부여하겠다. 대한민국은 주로 대기업들이 북미 수출기반을 노동력이 싼 멕시코에 두어 공장을 다수 보유하고 있어 실행 된다면 큰 타격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2. Bring Manufacturing jobs back 해외에 있는 제조업 공장들을 미국지역으로 이전시키겠다. 이것 또한 .. [한국경제] 한은 금리 방향 분석/예측 대부분의 국가에서 중앙은행이 한나라의 금리를 결정 합니다. 대한민국의 경우 한국은행 이 그역할을 맡고 있으며 다양한 경제지표의 흐름 밑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적정 금리 수준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중앙은행의 목표처럼 한국은행의 금리결정 최종목표 는 금리의 결정은 가격변동의 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하며 완전고용상태를 지향한다. 한국은행의 2016-2019 사이의 Inflation rate 목표 는 2% 입니다. 보시는 것 처럼 현재 대한민국의 가격변동율 은 1.3% 로 목표치인 2%에 못미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대학 경제 이론 에 의하면 경기불황시) 중앙은행은 금리를 낮추고 화페공급량을 늘린다 -> 기업은 낮은 금리로 은행 및 채권을 통하여 대출을 늘려 투자를 증가시킨다 -> 일자리가 늘어나고 국민..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19 다음